본문 바로가기

all about fashion

영국 클래식의 상징, 버버리(Burberry)의 역사와 탄생 배경

반응형

영국 클래식의 상징, 버버리(Burberry)의 역사와 탄생 배경

 

BURBERRY
BURBERRY

 영국 럭셔리 브랜드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름 중 하나가 버버리(Burberry)일 거예요. 고풍스러운 체크 패턴, 우아한 트렌치코트, 그리고 영국의 전통을 상징하는 면모로 전 세계 패션계에 막대한 영향력을 끼쳐 왔죠. 하지만 그 시작이 항상 화려했던 건 아니랍니다. 이번 글에서는 버버리가 어떻게 탄생했고, 어떤 과정을 거쳐 지금의 명성을 갖추게 되었는지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려고 해요.


BURBERRY
BURBERRY

버버리의 시작

 버버리는 1856년, 영국 햄프셔(Hampshire) 주의 베이싱스토크(Basingstoke)라는 소도시에서 첫발을 내디뎠어요. 당시 창업자 토마스 버버리(Thomas Burberry)는 겨우 21세의 젊은 청년이었는데, 그는 “실용적이면서도 날씨에 대응 가능한 옷을 만들겠다”는 열정으로 자신의 작은 의류점을 열었죠. 영국은 비가 잦고 날씨가 변덕스럽기로 유명하니, 이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의류에 대한 수요가 언제나 있었거든요.


토마스 버버리, 브랜드를 세우다

 토마스 버버리는 원래 드레이퍼(draper, 직물상) 밑에서 일하며, 다양한 천과 의류 제작 과정을 배웠다고 해요. 그러다 “사람들이 집밖 활동을 할 때 비와 바람을 막아 줄, 가볍고 튼튼한 소재가 필요하다”는 점에 주목했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독립해 자기 회사를 세운 거죠.

 

 그의 가게는 고급 고객층뿐 아니라 농민·사냥꾼 등 실용적인 옷을 필요로 하는 이들에게도 사랑받았어요. 19세기 후반 영국은 산업혁명으로 사회 변화가 일어났고, 중산층 증가와 함께 아웃도어 활동(사냥, 낚시, 승마 등)이 인기를 끌면서, 이러한 니즈를 충족시키는 버버리의 옷이 주목받게 된 거예요.


개버딘(Gabardine)의 발명과 혁신

 버버리가 본격적으로 유명해진 결정적 계기는 개버딘(Gabardine) 원단의 탄생이에요. 토마스 버버리는 1879년, 빗물과 바람을 막으면서도 통기성이 좋은 획기적인 소재를 개발해 특허를 냈죠. 이 개버딘은 면사(cotton yarn)를 빽빽하게 짜고, 방수 처리를 가미해 물이 잘 스며들지 않으면서도 답답하지 않은, 말 그대로 혁신적인 직물이었습니다.

 

 당시 무거운 고무 방수 코트는 열과 습기를 가둬 너무 불편했지만, 개버딘 코트는 가볍고 투습력이 좋아 ‘비와 바람에서 자유로운 아웃도어 패션’을 가능케 했습니다. 이 발명 덕에 버버리는 아웃도어·스포츠웨어의 선두로 자리 잡았고, 점차 군복·탐험가 용품 등으로도 영역을 넓혔어요.


트렌치코트와 군(軍) 역사

 버버리를 논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게 바로 트렌치코트죠. 원래 제1차 세계대전(WWI) 당시, 영국 장교들이 입던 방수 코트가 “트렌치(전선 참호)에서 유용하다” 하여 “트렌치코트”란 이름이 붙은 거예요.

 

 버버리의 개버딘 소재가 채택된 이 군용 코트는, 장교들이 비바람과 진흙을 견디게 해 주었고, 실용적 디테일(어깨 견장, D링, 벨트 등)도 전쟁 환경에 알맞았죠. 전쟁 후에도 이 트렌치코트가 민간인 일상복으로 퍼져 나가며 버버리의 상징 아이템으로 등극했어요.


대중화와 버버리 체크의 탄생

 1912년경 버버리는 Tielocken 코트(트렌치코트 전신 모델)를 선보였고, 제1·2차 세계대전을 거치며 국가 군복 계약으로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전후에는 왕실 인증, 귀족·유명인 착용 등으로 인기가 폭발했죠.

 

 이 무렵 등장한 것이 바로 버버리 특유의 체크(타탄 체크). 베이지 바탕에 검정·빨강·화이트 선이 교차한 패턴으로, 원래 코트 안감으로 썼는데 1960년대 들어 패션 아이템으로 대중화됐어요. 우산, 스카프, 모자 등 다양한 소품에 적용되면서 버버리의 시그니처가 된 거죠.


모험가·왕실·대중 스타들의 사랑

 아웃도어 특화 브랜드답게, 버버리는 남극 탐험가 어니스트 섀클턴 등이 착용하며 내구성을 입증받았어요. 영국 왕실은 “로열 워런트(Royal Warrant)”를 부여해, 왕실 공식 의류 공급자로 인정했고, 셰르록 홈즈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는 영국 스타일을 전 세계에 전파했어요.

 

 또, 1950~60년대 영국 영화·팝 문화가 붐을 일으키며, 비틀즈부터 헐리우드 스타들도 버버리 코트를 걸쳐 “클래식 영국 패션”을 상징하게 됐습니다.

 


현대 버버리로 이어지는 변화

 1970~80년대 들어 ‘고루한 영국 패션’ 이미지가 부정적으로 비칠 때도 있었지만, 1990년대 말부터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들을 영입해 현대적 감각을 가미하는 리브랜딩을 진행했어요.

 

- 체크 패턴 남용과 유사상품 범람 탓에 브랜드 가치 훼손 문제가 있었으나, 고급 라인하위 라인 분리 전략 등으로 수습 - 최근에는 디지털 마케팅과 젊은 고객층 공략을 통해 럭셔리 스트리트 감성도 일부 반영

 

 이런 변화를 거쳐, 버버리는 전통과 혁신을 조화시키는 대표적 영국 럭셔리 브랜드로 자리 잡았어요.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헤리티지

 버버리를 말할 때 떠오르는 키워드는 단연 개버딘 소재, 트렌치코트, 클래식 체크 그리고 영국 왕실/귀족 문화일 거예요. “실용성과 우아함을 결합해, 전통을 유지하면서도 시대 흐름에 맞춰 진화한다”는 점이 이 브랜드의 핵심 정체성이죠.

 

 심지어 로고 변경이나 디지털 전환 같은 파격 행보도 펼치지만, 결국 핵심인 “트렌치코트와 체크 패턴, 영국 헤리티지”는 건재하게 유지하면서 팬들을 사로잡고 있어요.


맺음말

 버버리는 1856년 작은 상점에서 시작해, 혁신 소재(개버딘)를 만들어 군복과 탐험복으로 명성 쌓고, 트렌치코트로 전 세계적 성공을 거두며, 지금까지 이어져 오는 대표 영국 럭셔리 브랜드예요. 격조 높은 체크 패턴과 실용적이면서도 고급스러운 디자인은 “전통을 새롭게 해석”하는 버버리 정신을 보여 주죠.

 

 만약 클래식한 영국 분위기와 내구성, 그리고 브랜드 헤리티지를 동시에 원하는 분이라면, 버버리 제품이 훌륭한 선택이 될 겁니다. 그 배경에는 19세기 말 토마스 버버리의 젊은 열정과, 개버딘 발명이라는 대담한 혁신, 그리고 수많은 전쟁·탐험·왕실 의례를 함께하며 쌓아 온 스토리가 깃들어 있다는 사실, 꼭 기억해 두세요.

 

 

2025.02.07 - [all about fashion] - 합성섬유 혁신과 지속 가능성의 만남, 나일론과 프라다 리나일론

 

합성섬유 혁신과 지속 가능성의 만남, 나일론과 프라다 리나일론

나일론과 리나일론의 탄생 배경나일론 원단이란 무엇인가나일론의 대표적 특성과 장단점프라다와 리나일론(RE-NYLON)의 등장리나일론의 생산 과정과 친환경 가치나일론과 리나일론의 소재 차이

aboutfashion.luvjin.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