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l about fashion

니트 원단의 수축률 완벽 가이드 | 기준, 측정, 제조 전략까지

반응형

니트 원단의 수축률(shrinkage) 완벽 가이드

니트 의류를 다룬다면 수축률 문제는 피할 수 없는 고민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니트 원단의 수축률이란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원단 종류나 조직 구조에 따라 수축률 기준은 어떻게 정해지는지, 실제 산업현장에서는 어떤 전략을 쓰는지까지 약 10,000자 이상의 분량으로 꼼꼼하게 설명드립니다.


 

1. 수축률(shrinkage)란 무엇인가?

수축률은 세탁, 열처리 등 표준 조건에 노출된 원단이 얼마나 줄어드는지를 백분율로 나타낸 지표입니다. 특히 니트 원단은 루프 구조가 불안정해 수축이 상대적으로 크며, 의류의 착용감과 핏,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반드시 측정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1.1 정의와 계산 공식

수축률은 일반적으로 다음 공식으로 계산합니다:

수축률 (%) = (원래 길이 – 세탁 후 길이) ÷ 원래 길이 × 100

예를 들어, 본딩 전후의 폭이 50cm → 45cm라면 수축률은 (50 – 45) ÷ 50 × 100 = 10%입니다.

 

2. 왜 니트 원단의 수축률을 측정해야 하나?

수축률 측정은 단순한 수치 파악을 넘어, 다음 네 가지 이유로 매우 중요합니다:

  1. 핏과 패턴 완성도 의류 샘플이 의도대로 제작되었어도, 수축 후 핏이 변형되면 소비자가 기대한 실루엣이 무너지며 만족도가 저하됩니다.
  2. 소비자 클레임 예방 “첫 세탁 후 줄었다”는 항의는 반품, 환불의 원인이 되며, 브랜드 신뢰도를 직접적으로 훼손합니다.
  3. 제조 커뮤니케이션의 표준화 브랜드와 제조공장, 패턴 디자이너, QC 팀 간 “같은 기준”으로 소통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여 생산 일관성을 유지합니다.
  4. 국제 규정 및 수출 요건 준수 AATCC, ISO, ASTM 등 국제 표준에 맞추지 않으면 수출 통관이 지연되거나 거절될 수 있습니다.

 

3. 니트 원단 종류별 수축률 기준

섬유 종류, 조직 구조, 블렌드 비율, 마감 방식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수축률이 크게 달라집니다. 아래 표는 일반적인 기준 범위를 보여줍니다.

원단 유형 예상 수축률 범위 주요 영향 요인
100% 면 싱글 저지 4 % ~ 10 % 면 섬유의 수분 흡수, 루프 이완
면‑폴리에스터 블렌드 3.5 % ~ 5.5 % 폴리에스터가 면 수축을 억제
폴리에스터 니트 (고밀도) ≤ 4 % 합성 섬유 특성, 낮은 수분기
레이온/실크 혼방 10 % 이상 실크/레이온의 취약한 구조
크루넥 립 조직 6 % ~ 12 % 조직 팽창력 강함
인터록 더블 니트 3 % ~ 7 % 짧고 촘촘한 루프 구조

이 기준은 산업 현장에서 수차례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며, 조직 구조(예: 립, 인터록), 섬유 조성, 밀도, 예수축(예: 산포/컴팩트 처리) 효과 등을 고려해 설정됩니다.

 

4. 수축률 기준은 누구에 의해 어떻게 정해지는가?

수축률 기준은 다음의 요소들을 통합해 전문가 집단과 산업단체, 브랜드에서 정해집니다:

 

4.1 국제 표준 기구

  • AATCC (American Association of Textile Chemists and Colorists): Test Method 135 (Domestic Laundering) 등
  •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6330 (Domestic Washing and Drying Procedures) 등
  • ASTM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ASTM D1777, D4966 등 다양한 섬유 테스트 규격

표준은 세탁 온도, 사이클, 건조 방식, 샘플 치수 등을 명확히 규정하여 일관된 비교를 가능케 합니다.

 

4.2 소재 및 조직 특성 고려

각 조직 구조의 특성을 분석합니다:

  • 면은 습기 흡수 후 루프가 탄성 복원 → 수축 발생
  • 폴리에스터와 같은 합성섬유는 구조가 유연하지 않아 수축 억제 역할
  • 예수축 처리가 없는 경우 수축률이 더 커짐

 

4.3 용도 및 소비자 기대치

의류 유형별 기준이 다릅니다:

  • 기능성 스포츠웨어: 2 % 이하 허용
  • 캐주얼 티셔츠: 5 % 이하 권장
  • 프리미엄 투어리스트 의류: 공급자가 미디어 통해 ‘프리-슈링크’ 강조

 

4.4 예수축 처리 효과

산포(Sanforization), 컴팩션 등을 사용하면 제조 단계에서 일정 정도 수축이 미리 일어나므로 최종 수축률 기준을 더 낮출 수 있습니다.

 

5. 표준 측정 절차 요약

표준 샘플을 대상으로 다음 절차로 테스트합니다:

  1. 샘플 준비 (20×20cm 이상, 넉넉한 여분 포함)
  2. 1차 측정: 세로/가로 길이 측정
  3. 표준 조건 세탁 및 건조 (예: ISO 6330 절차)
  4. 2차 측정: 동일 위치에서 다시 치수 측정
  5. 수축률 계산 및 보고

결과는 반드시 표준 형식의 테스트 리포트로 정리되어야 합니다.

 

6. 심화 관점: 수축률 기준 설계에 대한 고찰

수축률 기준 수립은 단순한 숫자가 아닌, 섬유학, 조직 이론, 소비자 심리, 생산공정 관리 등이 결합된 총체적 과정입니다.

  • 정밀한 패턴 개발: 수축률이 높을 경우, 패턴원단상에서 이에 맞춰 치수를 설계해야 하며, 이를 ‘패턴 슈링크 보정’이라고 합니다.
  • 공장간 기준 통일: 동일 브랜드라도 생산 공장마다 수축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사전 품질시료를 통해 리모트 기준을 맞추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 세탁 후 핏 안정화: 고가 니트는 “라벨에 첫 세탁 후 핏 안정 기간 48시간 권고” 정보가 통합되어 소비자에게 안내되기도 합니다.
  • 온라인 쇼핑 영향: 온라인 의류 구매 시 제품 사진과 사이즈 경험이 핏 감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수축률이 예측 가능해야 소비자 만족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7. 제조 현장 적용 사례

예를 들어, 글로벌 캐주얼 브랜드 A사는 다음과 같은 전략을 취했습니다:

  • 모든 니트 원단의 수축률을 1차 샘플링 단계에서 측정
  • 기준치(예: ≤5 %)를 초과하는 원단은 자동 반송
  • 패턴 설계에서 수축률 보정치 반영: 예를 들어 허리둘레 80cm → 84cm 패턴 적용
  • 생산공정 관리에서 예수축을 위한 산포처리 장비에 투자

 

8. 결론 그리고 핵심 강조

니트 원단의 수축률은 의류의 핏 품질, 소비자 만족, 브랜드 신뢰, 생산 효율 모두와 직결되는 중요한 품질 지표입니다. “어느 정도는 줄어도 된다”가 아니라 “얼마나 줄어야 하는지 미리 알고 설계하는 것”이 바로 전문가의 관점입니다.

패션 업계에서 성공적인 니트 제품을 만들고 싶다면, 원단의 수축률 기준을 명확히 정의하고, 테스트, 디자인, 생산, 안내 절차에 일관되게 반영해야 합니다.

 

 

2025.09.02 - [all about fashion] - RSL 테스트란? 글로벌 패션업계 필수 테스트를 알아보자!

 

RSL 테스트란? 글로벌 패션업계 필수 테스트를 알아보자!

RSL 테스트란? 글로벌 패션업계 필수 테스트를 알아보자!📌 목차RSL 테스트란?왜 RSL 테스트를 하는가?주요 테스트 항목글로벌 브랜드의 실제 사례RSL 테스트는 어떻게 진행되는가?RSL vs MRSL의 차이

aboutfashion.luvjin.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