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l about fashion

원사의 종류와 인팅, 연사의 유형 그리고 핸드필의 과학적 해석

반응형

원사의 종류와 인팅·연사의 유형 그리고 핸드필의 과학적 해석

1. 서론|왜 원사와 핸드필을 함께 보아야 하는가

핸드필(hand feel)은 소비자가 의복을 손에 쥐는 순간 체감하는 첫인상이며, 구매 결정과 재구매율을 좌우하는 핵심 품질이다. 핸드필은 소재의 종류만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같은 면 100%라도 방적 시스템, 섬유 길이 분포, 연사 강도와 방향, 편성 게이지와 설계, 마무리 소프트너의 종류가 달라지면 촉감은 전혀 다른 결과로 나타난다. 따라서 원사의 분류와 인팅(인터레이싱), 연사(트위스트)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이해할 때 핸드필을 일관되게 설계하고 재현할 수 있다.

 

 

2. 원사의 대분류|섬유 기원과 구조에 따른 체계

2.1 섬유 기원

분류 예시 핸드필 경향
천연 섬유 면, 모, 실크, 린넨, 카시미어 면은 파우더리하고 포근함, 모는 스프링성, 실크는 유려한 윤기와 촉윤감, 린넨은 드라이하고 시원함
재생 섬유 비스코스, 모달, 리오셀 부드럽고 흐르는 드레이프, 냉촉감(특히 리오셀)
합성 섬유 폴리에스터, 나일론, 아크릴, 엘라스테인 설계 자유도가 높아 드라이부터 실키까지 광범위, 엘라스테인은 고탄성

 

2.2 원사 구조

구조 설명 핸드필 특징
스테이플 방적사 짧은 섬유를 꼬아 만든 실 헤어리함과 볼륨, 파우더리·드라이 촉감
필라멘트사 연속사(모노/멀티) 표면이 매끈, 실키·크리스피 조절 용이
코어 스펀/커버드사 스판덱스 등 심사에 외피 방적 복원력과 소프트니스 동시 확보
펜시사 슬럽, 부클레, 샹쉘 등 표면 텍스처로 촉감의 캐릭터 부여
용어 정리텍스(tex)는 1,000m 당 g, 데니어(den)는 9,000m 당 g. 동일 굵기 비교 시 시스템을 통일해 해석한다.
 
 

3. 방적·가공 시스템별 원사 특성

시스템 핵심 장단점 핸드필 적용
링 방적(Ring) 전통적 꼬임 형성 균일·강도 우수, 생산성 낮음 촘촘·매끈, 중·고급 터치 티셔츠, 셔츠 저지, 하이게이지 니트
로터(Open-end) 회전체에서 응집 생산성·가격 우수, 표면 거침 드라이·러스틱, 캐주얼 스웨트, 데일리 티
콤팩트(Compact) 링 전 흡입 응집 강도↑, 모사↓ 실키·클린한 표면 프리미엄 저지
에어제트(MJS/MVS) 공기유동으로 꼬임대체 필링 저항·형상안정 우수 드라이하고 선명한 드레이프 폴리·면혼 방적 니트
사이로(Siro) 2개 로빙 병행 울라이크 촉감·균일성 볼륨감과 유연성 균형 울혼방 니트, 재킷니트
텍스처드(FTY/DTY) 필라멘트 벌키·크림프 벌키·신축성, 번들 조절 코튼라이크부터 실키까지 애슬레저, 소프트 저지
에어텍스처드(ATY) 공기 혼합 루프 형성 흡수성·코튼라이크 포근·무광, 내추럴 스웻, 니트팬츠

 

4. 인팅(Intersing)과 텍스처링|필라멘트의 결속과 벌키화

업계에서 “인팅”은 대개 필라멘트의 인터레이싱(interlacing)을 뜻한다. 고압 공기를 분사하여 멀티필라멘트 다발에 주기적 결속점(nip)을 만들어 권취·제직·편성 시 실 가닥이 벌어지지 않도록 결속을 높인다.

 

4.1 인팅의 수준과 표기

구분 표기 전형적 범위 특성
무인팅 NIM 0~3 nip/m 광택·실키감 최고, 공정취급성 낮음
약인팅 SIM 4~20 nip/m 유연·은은한 결속, 드레이프 우수
강인팅 HIM 20~60+ nip/m 취급성·안정성 우수, 드라이·크리스피
사례 — 폴리에스터 DTY 75/72 HIM은 스포츠 저지에서 스냅·필링 저감과 세탁 안정성을 높이고, 75/36 NIM은 블라우스에서 실키감과 광택을 확보한다.
 

4.2 텍스처링과의 차이

  • 텍스처링: 열·기계적 변형으로 크림프와 벌키를 부여하여 탄성과 보온성, 흡수성, 촉감을 크게 바꾼다(FTTY, DTY, ATY 등).
  • 인팅: 크림프를 만들지 않고 결속만 부여하여 취급성과 표면 감각을 미세 조정한다.

 

5. 연사(Twist)의 유형과 규격값이 주는 영향

연사는 섬유 다발에 회전을 부여해 응집과 강도를 만든다. 연사의 강도와 방향, 합사 구조는 촉감과 외관을 좌우한다.

 

5.1 기본 개념

  • 방향: S/Z. 편성·제직 이후 토크 밸런스와 요철, 광택에 영향.
  • 강도: TPI 또는 TPM. 저연사는 루프가 크고 소프트. 고연사는 컴팩트하고 크리스피·드라이.
  • Twist Factor(K): 실 굵기 대비 적정 꼬임을 산정하는 공식적 지표.

 

5.2 연사 유형

유형 구조 핸드필 비고
단사 하나의 실 부드러우나 비틀림·토크 위험 저지 기본
합사(2·3합) 두 가닥 이상 합침 균일·안정, 표면 매끈 고급 니트·셔츠
케이블 합사를 다시 꼬음 탄탄·크리스피 굵은 게이지, 케이블 조직
하이 트위스트 높은 TPM/TPI 바스락·드라이·쿨터치 썸머 니트, 워셔블
로우 트위스트 낮은 TPM/TPI 소프트·볼륨 겨울 니트, 라운지
코어 스펀 심사+외피 탄성+소프트 코튼/스팬
밸런스 팁 — 편성 방향과 S/Z 조합이 불균형하면 비틀림, 사행이 발생한다. 조직·실방향·Finishing을 함께 설계해 토크를 상쇄한다.
 
 

6. 핸드필의 다층 구조|촉감 언어를 물성으로 번역하기

핸드필은 다섯 층의 변수로 설명할 수 있다.

  1. 섬유 차원: 굴절률, 수분율, 단면, 길이분포, 미세도. 예: 모달은 촉윤감, 린넨은 드라이감.
  2. 원사 차원: 방적 시스템, 연사, 인팅/텍스처링, 합사 구조, 굵기. 예: 하이 트위스트의 크리스프 터치.
  3. 구조 차원: 게이지, 루프 크기, 조직(저지·립·인터록), 밀도. 예: 립은 스프링성으로 포근한 반발.
  4. 가공 차원: 컴팩팅, 수딩/브러싱, 머서라이징, 실리콘계 소프트너. 예: 마이크로실리콘은 버터리 터치.
  5. 감성 차원: 문화·계절·용도에 따른 선호 언어. 예: 여름의 “크리스피”, 겨울의 “버터리”.
감성 언어 물성 신호 요소
버터리 낮은 표면마찰, 높은 압축복원 마이크로 실리콘, 저연사, 하이게이지
크리스피 높은 굽힘강성, 고연사 하이 트위스트, HIM 인팅
파우더리 미세 기모, 낮은 광택 스테이플·브러싱
실키 낮은 요철, 높은 광택 NIM 필라멘트, 콤팩트
드라이 낮은 표면에너지, 수분전달 빠름 린넨·MVS, 하이 트위스트

 

7. 원사×인팅×연사 조합별 핸드필 매트릭스

조합 핵심 설정 예상 핸드필 권장 용도
코튼 링사 × 2합 × 저연사 30s×2, 600 TPM 부드럽고 포근, 약간의 헤어리 크루넥, 라운지
폴리 DTY × HIM 인팅 × 하이 트위스트 75/72 HIM, 1000 TPM 환산 크리스피, 드라이, 쿨터치 썸머 니트, 애슬레저
ATY × 저연사 × 브러싱 150/144 ATY 코튼라이크 벌키, 파우더리 스웻, 조거
모달/코튼 혼방 × 콤팩트 × 중연사 40s 콤팩트 버터리+실키 균형 프리미엄 티
나일론 FDY × NIM × 고광택 50/24 NIM 실키·차가운 터치 여성 탑, 언더
코어스펀 코튼/스판 × 2합 40/1+20D 소프트+탄성 회복 핏 티, 애슬레저

 

8. 시험과 표준|객관 측정으로 감성 품질을 관리하는 법

  • 균일도/Uster — CV%, 박지, 모사 지표로 표면감을 예측한다.
  • 강신도 — 연사 강도와 연신율은 내구성 및 핸드탄력과 연동.
  • 마찰계수 — 표면 활주·점착감. 실키/버터리 판단 근거.
  • KES-F/FAST — 압축·굽힘·전단·표면 거칠기 세트로 감성치에 링크.
  • 수분관리 — wicking, 건조속도. 드라이·쿨터치 설계에 핵심.
운영 팁 — 감성 용어를 시험치로 매핑해 사양서에 병기한다. 예) “크리스피” = 굽힘강성 ≥ X, 표면마찰 ≥ Y, TPM 범위 Z.

 

9. 제조·기획 실무 팁|브리프에서 승인까지

  1. 핸드필 정의 — 촉감 언어와 사용 맥락을 문장으로 고정한다.
  2. 가닥 설계 — 섬유·방적·연사·인팅·굵기를 1차 설계.
  3. 리스크 관리 — 토크·필링·수축률 목표치 설정.
  4. 미니 파일럿 — 10~30 kg급 파일럿으로 초기 감을 본다.
  5. 피니시 최적화 — 실리콘, 유연제, 엔자임, 수딩 강도를 단계화.
  6. 표준화 — 허용 공차와 시험치 범위를 사양서에 명확화.

 

10. 사례 연구|니트 6종 개발 로그

10.1 썸머 크리스프 저지

  • 사양: PET DTY 75/72 HIM, 하이 트위스트, 28G 저지
  • 핸드필: 크리스피, 쿨, 노스틱
  • 핵심: HIM 인팅과 고TPM으로 드라이감 확보. 실리콘은 저분자량으로 미끄러움 과다 방지.

 

10.2 버터리 베이직 티

  • 사양: 모달/코튼 50/50 콤팩트 40s, 저연사, 마이크로 실리콘
  • 핸드필: 버터리·실키 균형
  • 핵심: 콤팩트로 모사 억제, 저연사로 유연성 확보.

 

10.3 코튼라이크 ATY 스웻

  • 사양: ATY 150/144, 브러싱 양면
  • 핸드필: 파우더리·포근
  • 핵심: 루프 형성으로 벌키, 소프트너는 친수형 선택.

 

10.4 하이게이지 실키 니트탑

  • 사양: 나일론 FDY 50/24 NIM, 40G
  • 핸드필: 실키·차가운 터치
  • 핵심: NIM로 광택 극대화. 캘린더로 표면 평활화.

 

10.5 린넨·코튼 드라이 터치

  • 사양: 린넨 30s/코튼 40s 혼방, 중연사, 엔자임 소프트닝
  • 핸드필: 드라이·통기·내추럴
  • 핵심: 린넨의 마찰감을 유지하면서 과유연 방지.

 

10.6 코어스펀 핏 저지

  • 사양: 코튼 커버드 스팬 40/1+20D, 2합
  • 핸드필: 소프트+탄성
  • 핵심: 합사로 토크 안정, 회복탄성 향상.

 

 

11. 결론|핸드필은 설계 가능한 품질이다

원사의 기원과 구조, 방적 시스템, 인팅 강도, 연사 강도와 방향의 조합은 핸드필의 80%를 결정한다. 나머지 20%는 편성 구조와 마무리 가공이 채운다. 촉감 언어를 물성 지표로 번역하고, 조합 매트릭스로 설계하면 의도한 핸드필은 일관되게 재현 가능하다. 핸드필은 우연한 결과가 아니라 설계 가능한 품질이다.

 
 
728x90
반응형